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체 –소화의 과정 (췌장)_2

6) 당뇨병

 

인슐린 작용 매커니즘
1. 췌장에서 혈액 속으로 분비된 인슐린이 골격근이나 지방세포 등의 세포막에 있는 인슐린 수용체와 결합함으로써 인슐린 수용체가 활성화된다.
2. 다양한 전달 물질을 통해 그 자극이 세포 안까지 전해지면, 세포 안에 있는 ‘GLUT4(글루코스트랜스포터4)’가 세포막까지 이동한다.
3. 세포막에 도착한 GLUT4는 혈액 속의 글루코스와 결합하면 글루코스를 세포 안으로 수송한다.
4. 세포는 혈액 속의 글루코스를 세포 안에서 에너지원으로 받아들일 수 있게 되어 에너지원 생성에 사용된다.
당뇨병의 유형
1형 당뇨병 질병 2형 당뇨병
젋은이에게 많다. 발병 연령 중장년에 많다.
급격히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발현 알아차리지 못하는 사이에 진행된다.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몸이 마른 형이 많다. 체형 비만인 경우가 많지만, 마른 체형도 있다.
췌장에서 인슐린을 만드는 β(베타) 세포가 손상되었기 때문에 인슐린이 췌장에서 거의 분비되지 않는다. 원인 생활습관이나 유전적인 원인에 의해, 인슐린이 잘 나오지 않거나 효과가 없어진다.
(인슐린 리셉터의 손상아닌가..?)
인슐린 주사 치료 식사 요법이나 운동 요법, 내복약, 경우에 따라서는 인슈린 주사도 사용한다.

당뇨병 진단 : 혈액 검사에서 혈당값과 당화혈색소(HbA1c)값을 측정하여 기준보다 높은지 판단하여 내린다.

*혈당값: 검사한 시점의 혈당 농도

*당화혈색소값: 채혈한 때로부터 과거 1~2개월의 평균 혈당값을 반영한 것.

덧붙여, 혈액속의 단백질인 헤모글로빈과 글루코스가 결합한 글루코헤모글로빈 가운데 하나. 적혈구의 수명은 약 4개월로, 이 사이에 혈액 속의 글루코스가 결합해 간다. 혈액 속의 글루코스가 많으면 그만큼 당화혈색소의 값도 높아진다. 당화혈색소의 값을 측정하면 적혈구 수명의 절반에 해당하는 과거 1~2개월 혈당치의 평균을 알 수 있다.

 

당뇨병이 일으키는 여러 가지 합병증

급성 합성증 : 당뇨병성 케토산증(ketoscidosis)
원인: 혈당값이 내려가지 않는다는 것은 몸이 혈당 대신에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분해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 상태에서는 케톤체(ketone body)라는, 뇌에 에너지원을 공급하기 위한 물질군이 간에서 합성된다. 하지만, 케톤체가 혈액 속에 지나치게 늘어나면 독성을 나타내, 급하게 목이 마르고 소변도 많이 나와 온몸이 나른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징: 특히 1형 당뇨병의 환자에게 일어나는 합병증인데, 2형 당뇨병 환자도 청량음료(당류 함유)를 너무 많이 마시면 나타난다.
만성 합병증: 심장이나 혈관(순환기 계통)의 질환
원인: 혈당값이 높은 채 몇 년이 지나면, 혈관에 부담이 가해져 점차 혈관이 손상된다. 혈당값이 높은채 몇 년이 지나면, 혈관에 부담이 가해져 점차 혈관이 손상된다. 그러면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이 혈관 속으로 들어가고, 그것을 청소하려는 백혈구의 일종의 사체가 쌓임으로써 혈관이 차츰 좁아진다.
특징: 그것이 동맥경화가 되어 심근경색이나 뇌혈관 장애를 일으킨다. 혈관의 부담은 눈 안쪽의 망막(안구층의 가장 안쪽에 있으며, 빛을 느끼는 막)에 출혈 및 손발저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고혈당 상태가 되면, 말단의 신경세포에 솔비톨이 쌓여 신경세포가 제대로 기능하지 않음

 

인슐린 작용 매커니즘
1. 췌장에서 혈액 속으로 분비된 인슐린이 골격근이나 지방세포 등의 세포막에 있는 인슐린 수용체와 결합함으로써 인슐린 수용체가 활성화된다.
2. 다양한 전달 물질을 통해 그 자극이 세포 안까지 전해지면, 세포 안에 있는 ‘GLUT4(글루코스트랜스포터4)’가 세포막까지 이동한다.
3. 세포막에 도착한 GLUT4는 혈액 속의 글루코스와 결합하면 글루코스를 세포 안으로 수송한다.
4. 세포는 혈액 속의 글루코스를 세포 안에서 에너지원으로 받아들일 수 있게 되어 에너지원 생성에 사용된다.
당뇨병의 유형
1형 당뇨병 질병 2형 당뇨병
젋은이에게 많다. 발병 연령 중장년에 많다.
급격히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발현 알아차리지 못하는 사이에 진행된다.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몸이 마른 형이 많다. 체형 비만인 경우가 많지만, 마른 체형도 있다.
췌장에서 인슐린을 만드는 β(베타) 세포가 손상되었기 때문에 인슐린이 췌장에서 거의 분비되지 않는다. 원인 생활습관이나 유전적인 원인에 의해, 인슐린이 잘 나오지 않거나 효과가 없어진다.
(인슐린 리셉터의 손상아닌가..?)
인슐린 주사 치료 식사 요법이나 운동 요법, 내복약, 경우에 따라서는 인슈린 주사도 사용한다.

당뇨병 진단 : 혈액 검사에서 혈당값과 당화혈색소(HbA1c)값을 측정하여 기준보다 높은지 판단하여 내린다.

*혈당값: 검사한 시점의 혈당 농도

*당화혈색소값: 채혈한 때로부터 과거 1~2개월의 평균 혈당값을 반영한 것.

덧붙여, 혈액속의 단백질인 헤모글로빈과 글루코스가 결합한 글루코헤모글로빈 가운데 하나. 적혈구의 수명은 약 4개월로, 이 사이에 혈액 속의 글루코스가 결합해 간다. 혈액 속의 글루코스가 많으면 그만큼 당화혈색소의 값도 높아진다. 당화혈색소의 값을 측정하면 적혈구 수명의 절반에 해당하는 과거 1~2개월 혈당치의 평균을 알 수 있다.

 

당뇨병이 일으키는 여러 가지 합병증

급성 합성증 : 당뇨병성 케토산증(ketoscidosis)
원인: 혈당값이 내려가지 않는다는 것은 몸이 혈당 대신에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분해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 상태에서는 케톤체(ketone body)라는, 뇌에 에너지원을 공급하기 위한 물질군이 간에서 합성된다. 하지만, 케톤체가 혈액 속에 지나치게 늘어나면 독성을 나타내, 급하게 목이 마르고 소변도 많이 나와 온몸이 나른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징: 특히 1형 당뇨병의 환자에게 일어나는 합병증인데, 2형 당뇨병 환자도 청량음료(당류 함유)를 너무 많이 마시면 나타난다.
만성 합병증: 심장이나 혈관(순환기 계통)의 질환
원인: 혈당값이 높은 채 몇 년이 지나면, 혈관에 부담이 가해져 점차 혈관이 손상된다. 혈당값이 높은채 몇 년이 지나면, 혈관에 부담이 가해져 점차 혈관이 손상된다. 그러면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이 혈관 속으로 들어가고, 그것을 청소하려는 백혈구의 일종의 사체가 쌓임으로써 혈관이 차츰 좁아진다.
특징: 그것이 동맥경화가 되어 심근경색이나 뇌혈관 장애를 일으킨다. 혈관의 부담은 눈 안쪽의 망막(안구층의 가장 안쪽에 있으며, 빛을 느끼는 막)에 출혈 및 손발저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고혈당 상태가 되면, 말단의 신경세포에 솔비톨이 쌓여 신경세포가 제대로 기능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