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체 –소화의 과정 (소장)_2 5)미세 융모와 지질의 흡수 ○중성 지방을 흡수하는 방법은 녹말이나 단배질의 경우와는 다르다. 중성지방은 소장의 상피세포로 들어가고(1~2), 흡수된 영양소가 모세 혈관과 림프관으로 들어가는 상황(3~5)을 그림으로 나타냈다. 모세 혈관은 문맥에 모여 간으로 향한다. 한편 림프관은 굵은 림프관인 가슴관을 통해 빗장뼈(쇄골) 부근에서 정맥과 연결되어 온몸 순환에 들어간다. 미세 융모를 빠져 나간다. - 중성 지방의 소화물 등을 포함한 공[미셀(마이셀, miselle)]이 갈라지며 내용물이 나옴 - 나온 내용물은 분해되지 않고 미세 융모를 통해 세포 안으로 들어감 - 기름에 달라붙기 쉬운 성분으로 이루어진 미세 융모의 막(지질 이중막)에 용해되듯이 해서 세포 속으로 스며들 수 있음 2. 세포 속의 공장에서 .. 더보기 인체 –소화의 과정 (소장)_2 3)소장의 미세 구조 ○주름과 돌기가 소장 겉넓이의 수십 배나 넓게 펼쳐져 있다. 소장의 ‘공장’의 내부는 고리 모양의 주름이 많이 나타난다. 소장 전체에서 약 800개의 고리 모양 주름이 있다고 한다. 주름의 표면을 확대하면, 마치 융단의 표면처럼 늘어서 있는 높이 1mm 전후의 돌기가 수없이 보인다. 이 돌기가 ‘융모(융털)’라는 구조이다. *융모 포유류 융모의 모양은 손가락 끝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으며, 복잡하게 얽혀 있어 겉넓이가 크게 넓어진다. 융모 사이에 자의 점액이 보인다. ○공장에 발달해 있는 융모가 흡수의 중심이다. 장에서 주름과 융모가 가장 발달한 곳이 바로 공장이다. 영양소의 대부분이 공장에서 흡수된는 큰 이유는 공장의 겉넓이가 넓기 때문이다. 회장의 후반부로 나아감에 따라 융모는 .. 더보기 인체 –소화의 과정 (소장)_1 4. 3대 영양소를 흡수하는 장의 메커니즘 - 소화관을 이동해 온 음식물은 마지막으로 장(창자)에 이른다. 작은 털이 빽빽이 돋은 소장(작은창자)애서는 음식물의 최종적인 소화와 흡수가 이루어진다. 그 다음의 대장(큰창자)에서는, 막대한 수의 장내 세균이 ‘음식물의 나머지’에서 도움이 되는 물질을 만들어 낸다. 1)장의 위치와 구조 ○소장과 대장의 영역구분 소장 대장 전체길이 6~7m 1.5m 구분 십이지장(0.25~0.3m) 맹장 공장(2~3m) 결장 회장(3~4m) 직장 특징 1. 신축성이 높으며, 최대 10m 까지 늘어남. 2. 공장과 회장의 3~4m 정도 사이에 완만하게 구조가 변해감 직장은 회장의 뒤쪽에 위치함 ○소장과 대장의 영역별 역할 및 특징 기관 역할 특징 소장 공장 주요 영양소를 흡수 1.. 더보기 이전 1 다음